연말정산 기납부세액 조회 및 계산 방법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연말정산 기납부세액 조회&계산 방법
기납부세액이란?
월별 급여(상여금 포함)를 수령할 때 소득세법에서 규정한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원천징수된 세금을 의미합니다.
연말정산 계산 시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항목 중 하나는 기납부세액 금액입니다.
기납부세액은 회사마다 규정이 다르므로 직접 확인 가능한 곳도 있고, 회사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또 이를 몰라서 당황하는 직장인분들도 많을 것입니다.
그럼 간단히 기납부세액을 확인하는 방법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.
기납부세액 조회 방법
홈택스에 접속하여 → 조회 / 발급 메뉴로 이동 → 간이세액표 → 근로소득간이세액표 순서로 찾아가시면 됩니다.
월 급여액(연봉 ÷ 12개월)을 입력하고, 전체 공제 대상 가족 수(본인 포함)를 선택한 다음, 전체 공제 대상 가족 중 7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 수를 입력한 후 조회하기를 클릭하면 화면에 조회 결과가 나타납니다.
80%, 100%, 120%의 선택지가 있습니다.
원천징수 세액 %를 선택할 때는 아마도 연초에 회사에서 안내한 선택을 따르셨을 것입니다.
100% 선택 시 급여가 300만 원인 경우 납부세액 합계는 18,810원 × 12개월 = 225,720원입니다.
이는 정확한 세금이 아니며 통계에 기반한 근사치이므로 ±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정확한 금액을 계산하려면 월급명세서의
소득세 + 주민세 = 기납부세액
을 더하면 됩니다.
그럼 동일한 조건에서 급여가 600만 원인 경우 세금은 어떻게 될까요?
동일한 조건에서 선택한 600만 원 급여를 받는 사람의 경우
389,910 원 × 12 개월 = 4,678,920원입니다.
큰 차이를 보입니다.
위 자료는 개인 급여와 부양가족 수에 따른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계산 방법이니 참고해주세요.
지금까지 연말정산 기납부세액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다음에 더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뵐게요.
감사합니다^^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


